Web (2) 썸네일형 리스트형 Ping/Telnet/Traceroute 비교 정리 Ping/Telnet/Traceroute 비교 특정 서버가 접속이 되지 않을 때 확인 할 수 있는 유용한 명령어 사용법 설명 ping은 목적지 서버를 통하는 네트워크 상태를 체크 telnet은 목적지 서버의 해당 어플리케이션까지 살아 있는지 확인 traceroute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라우터를 모두 추적 ping [목적지 IP주소] ex) ping 204.111.111.1 telnet [목적지 IP주소] [어플리케이션 port 정보] ex) telnet 204.111.111.1 9002 traceroute [목적지 IP주소] ex) traceroute 204.111.111.1 9002 Telnet vs Ping Telnet은 기본적으로 23번 포트 사용, Application Later에 해당 특정.. 자주 쓰이는 디폴트 Port 정리 자주 쓰이는 Port 정리 디폴트 포트 정리 링크 자주 쓰이는 포트들(Common Port) 포트 번호 / 계층 이름 설명 20 ftp-data FTP 데이터 포트 21 ftp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포트; 가끔씩 파일 서비스 프로토콜 (FSP)에 의해 사용됩니다 22 ssh 보안 쉘 (Secure Shell: SSH) 서비스 23 telnet Telnet 서비스 25 smtp 단순 메일 전송 프로토콜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MTP) 53 domain 도메인 이름 서비스 (예, BIND) 80 http WWW (World Wide Web) 서비스에 사용되는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107 rtelnet 원격 Telnet 12.. 이전 1 다음